“연소득 일반 근로자 7배” 외신도 주목한 한국 의사와 의대 열풍
  • 김민지 디지털팀 기자 (kimminj2028@gmail.com)
  • 승인 2024.02.20 11:1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의대정원 확대 논란 계기로 ‘韓 상위권 학생 의대 선호’ 조명
정부와 의대 증원에 반발하는 의사들의 대립도 전해
정부가 의대 정원 확대를 예고한 가운데 지난 13일 오후 서울 서초구 메가스터디 학원에서 학생과 학부모들이 '의대 증원에 따른 입시 판도 분석 설명회'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의대 정원 확대를 예고한 가운데 지난 13일 오후 서울 서초구 메가스터디 학원에서 학생과 학부모들이 '의대 증원에 따른 입시 판도 분석 설명회'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국내 의료계가 폭풍전야인 가운데 외신도 한국의 이 같은 상황과 의대 진학 열풍에 주목했다.

19일(현지 시각) 블룸버그통신은 ‘한국의 상위권 학생들은 반도체보다 의대에 투자한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학생들이 취업이 확실시되는 공대보다 오히려 의대로의 진학을 원한다고 짚었다.

블룸버그는 “의대 정원을 크게 늘리려는 정부의 계획으로 더 많은 상위권 학생이 반도체 엔지니어가 되는 확실한 진로보다는 의사가 되기 위한 시험 준비 과정에 등록하고 있다”며 “의대 지원자 중에는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 같은 기업에 취업이 보장되는 최상위권 공대 입학을 거절하고 의사의 더 높은 직업 안정성과 수입에 끌리는 사람들이 많다”고 밝혔다.

이어 서울대 홈페이지 등을 인용해 올해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정시 합격자 가운데 26%가 미등록했지만, 서울대 의대 합격자 중에서는 등록하지 않은 학생이 아무도 없었다고 전했다.

블룸버그는 대학입시학원 대표의 견해를 통해 의대나 공대에 대한 학생들의 여론을 알리기도 했다. 학생들이 졸업 후 삶을 고려해 자연스럽게 의대를 선호하고 있으며 정부의 반도체 산업육성정책도 그런 여론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것이다.

블룸버그는 의대 정원이 20년간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한국의 인구 대비 의사 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다른 회원국보다 적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2021년 기준 한국 내 개원 의사의 연평균 총소득이 일반 근로자의 6.8배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으며 퇴직연령도 없다고 설명했다.

외신은 의대 증원에 반발하는 전공의들이 무더기로 사표를 내자 보건복지부가 진료유지명령을 내리는 등 정부와 의사들의 대립상황도 전했다.

AFP통신은 이 소식을 알리면서 “한국은 선진국 중 인구 대비 의사 수가 적은 국가 중 한 곳”이라며 “정부는 부분적으로는 빠르게 고령화되는 사회에 대처하기 위해 의사 수 증원을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어 “의사들은 이 계획에 대해 서비스 공급의 질에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주장한다”면서도 “의사들이 자신들의 급여와 사회적 지위가 떨어질 것으로 우려한다는 지적도 나온다”고 전했다.

AFP는 “한국 의료법에 따르면 필수 근로자로 분류되는 의사들은 집단으로 업무를 중단할 수 없도록 제한돼 있다”고 덧붙였다.

로이터통신은 한국의 대형병원 가운데 한 곳인 연세 세브란스가 전공의들이 사직서를 제출해 수술 일정을 조정하고 있다고 주목했다. 그러면서 수도권 ‘빅5’ 병원 전공의들이 사직서를 무더기로 냈다고 보도했다.

이어 전날 한덕수 국무총리가 대국민 담화를 내고 “집단행동으로 인한 의료공백은 국민 생명과 건강을 볼모로 삼는 있어서는 안 되는 일”이라는 말을 전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