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與TF, ‘내년 5월 또는 6월 조기 대선’ 로드맵 초안 마련
與일각 “탄핵만은 피해야”…‘이재명 재판 일정’ 의식 관측도

윤석열 대통령이 자신에 대한 탄핵소추안 표결이 예정된 7일 오전 긴급 담화를 통해 허리 숙여 사과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자신에 대한 탄핵소추안 표결이 예정된 7일 오전 긴급 담화를 통해 허리 숙여 사과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정국 안정화 태스크포스(TF)가 ‘12·3 계엄사태’ 대응 방안을 한동훈 대표에게 보고한 것으로 확인됐다. TF는 ‘3월 퇴진 후 5월 대선’ 또는 ‘4월 퇴진 후 6월 대선’ 등 두 개 시나리오를 마련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하야’가 전제된 복안으로, 여권 내 ‘탄핵 이탈표’를 막고 ‘대권 시계’ 주도권을 야당이 아닌 여당이 쥐겠다는 셈법으로 읽힌다.

TF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1차 회의를 열고 비상계엄 사태 이후 정국 수습 방안과 윤석열 대통령의 질서 있는 퇴진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TF는 윤 대통령의 ‘탄핵’이 아닌 ‘하야’를 전제로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전해진다. 정국 안정을 위해서는 윤 대통령이 당분간 직은 유지하되, 6개월 내 하야해야 한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는 후문이다.

논의 후 TF는 ‘3월 퇴진 후 5월 대선’ 또는 ‘4월 퇴진 후 6월 대선’ 두 시나리오를 초안에 담아 한동훈 대표에게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이 하야한다면 헌법상 대통령의 ‘궐위’ 상태가 되므로 60일 이내 조기대선을 치러야 한다. 

TF가 ‘하야 시나리오’를 마련한 배경에는 최근 여권 내 ‘탄핵 찬성파’가 확산하고 있는 것도 무관치 않아 보인다. ‘1차 탄핵안 투표’ 당시 반대표를 던졌던 김상욱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탄핵 찬성표를 던지겠다”고 선언했다. ‘표결 불참 전략’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윤 대통령을 겨냥한 2탄 탄핵안의 ‘가결 가능성’도 점차 높아지는 모습이다.

현역 최다선(6선)인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윤 대통령은 즉시 하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 의원은 지난 7일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 표결을 앞두고 찬성 의견을 냈다가 당론에 따라 그 뜻을 철회한 바 있다.

조 의원은 “윤 대통령이 결자해지의 마음으로 오늘 이 시간에 (하야를) 하면 제일 좋겠지만 그 정도의 배짱은 없을 것이라고 본다. 즉시 하야하는 것이 국민들의 혼란과 고통, 정신적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가장 좋은 해결책이고 탄핵보다 더 강한 해결책이라고 본다”고 했다.

일각에는 여당이 윤 대통령의 하야를 통해 ‘대권 시계’ 속도를 최대한 늦추려 한다는 시각도 있다. 윤 대통령의 탄핵이 3월 전 이뤄질 시, 이재명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대법원 확정판결 전 대선이 치러질 수 있다는 우려가 여권 내에선 팽배한 상황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