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3개 수사대상 중 도이치·명태균 관련 의혹 등으로 축소 검토”
“특별감찰관은 특검 저지용 물타기…특검법 통과가 먼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맨 앞줄 왼쪽부터), 박찬대 원내대표, 전현희 최고위원 등이 지난 9일 오후 서울 숭례문 일대에서 더불어민주당 주최로 열린 ‘김건희·윤석열 국정농단 규탄·특검 촉구 제2차 국민행동의 날’ 장외집회에서 LED 촛불을 흔들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맨 앞줄 왼쪽부터), 박찬대 원내대표, 전현희 최고위원 등이 지난 9일 오후 서울 숭례문 일대에서 더불어민주당 주최로 열린 ‘김건희·윤석열 국정농단 규탄·특검 촉구 제2차 국민행동의 날’ 장외집회에서 LED 촛불을 흔들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김건희 여사에게 제기된 각종 의혹의 진상을 규명하기 위한 ‘김건희 여사 특검법’의 수사 대상을 축소하고 제3자가 특검을 추천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여당이 비판해왔던 이른바 ‘독소조항’을 손봐 윤석열 대통령의 재의요구권 행사 후 재표결에서 여당의 이탈표를 끌어내려는 전략으로 보인다.

10일 민주당 핵심 관계자에 따르면, 민주당은 지난 달 17일 발의한 세 번째 ‘김 여사 특검법’에 명시된 13개 수사 대상 중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과 명태균씨가 개입된 부정선거 및 국정농단 의혹 등으로 특검 대상을 줄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특검법을 통과시키는 게 당면한 과제인 만큼 여당이 문제로 삼은 특검 추천 방식도 제3자 추천 방식까지 고려할 수 있다고 이 관계자는 설명했다.

민주당이 발의한 특검법에 따르면 특검은 민주당과 비교섭단체에서만 각각 1인을 추천할 수 있다. 야당만 특검을 추천할 수 있게 한 조항을 두고 여당이 계속 ‘독소조항’ 문제를 제기해 온 만큼, 이를 손보면 여당이 특검법을 거부할 명분도 줄어들 것으로 민주당은 보고 있다.

이 관계자는 “김 여사 관련 의혹이 워낙 커서 정부·여당에 특검 추천권을 줄 수는 없다”며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채 상병 특검법’과 관련해 제3자 추천 방식을 수용할 수 있다고 했으므로 ‘김 여사 특검법’의 특검도 같은 방식으로 이뤄지면 거절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국민의힘이 추진 중인 특별감찰관 후보 추천은 “특검법을 저지하기 위한 물타기”라며 “특별감찰관제는 국정농단과 같은 비위 행위를 예방하는 조치이지만, 이미 논란이 불거진 상황 아닌가. 지금은 특별감찰관 후보 추천보다 특검법을 통과시키는 것이 먼저”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