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단 관계자 “국회 봉쇄 및 정치인·언론인·종교인 등 ‘수거 대상’으로 표현”
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 중인 경찰이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의 수첩에서 ‘북한 공격 유도’라고 적힌 메모를 확인했다. 또 국회봉쇄를 비롯해 정치인, 언론인, 종교인 등을 ‘수거 대상’으로 표현한 정황도 포착했다.
23일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특수단) 관계자는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은 수사 진행 상황을 밝혔다.
특수단 관계자는 “노 전 사령관의 수첩에는 ‘북방한계선(NLL)에서 북의 공격을 유도’라는 표현도 있었다”고 밝혔다. 앞서 일각에서는 북한과의 군사 충돌을 일으켜 계엄을 선포하려 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바 있는데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가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어 “수첩에는 국회 봉쇄, 정치인, 언론인, 종교인, 노조, 판사, 공무원 등을 수거 대상으로 표현하며 수용 및 처리 방법에 대해 언급돼 있었다”며 “수거는 체포라는 의미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또 수첩에는 일부 직종의 실명도 적시되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경찰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작성한 체포 명단과 수첩에 적시된 인물들이 겹치는지 여부는 확인해주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앞서 경찰은 지난 15일 노 전 사령관을 긴급체포하며 경기 안산 자택에서 60~70페이지 분량의 수첩과 휴대전화 등을 확보했다.
확보된 수첩에는 계엄 대비 60여 명 규모와 3개 부로 나뉜 정보사 ‘수사2단’ 계획 등이 담겨있었다.
경찰은 이른바 ‘롯데리아 회동’과 관련한 수사 2단 편성 계획 의혹을 두고 노 전 사령관이 직접 조직을 운용하려 했던 정황으로 보고 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은 ‘롯데리아 회동’ 4인방인 노 전 사령관과 문상호 정보사령관, 정보사 대령 2명을 주축으로 하는 수사 2단 편성이 계획됐다고 주장한 바 있다.
특수단 관계자는 “수사 2단과 관련한 인사 관련 일반문건도 확보했다”며 “준비에 필요한 행정사항도 포함돼 있었다”고 밝혔다.
해당 문건은 김 전 장관이 봉투에서 꺼내 노 전 사령관에게 전달한 것으로, 경찰이 국방부에서 확보했다.
한편, 노 전 사령관은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내란 등의 혐의로 긴급체포 됐다. 현재 구속 상태인 노 전 사령관은 경찰 조사에서 거의 진술을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