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지역난방공사 ‘환경 리스크’ 걸림돌 될 수도”

대구 달서구 달성습지생태학습관 전망대에서 바라본 달성습지 ⓒ시사저널 김성영
대구 달서구 달성습지생태학습관 전망대에서 바라본 달성습지 ⓒ시사저널 김성영

대구 달서구가 24일 지역 대표 생태 관광지 세 곳을 묶어 국가정원으로 조성하는 계획을 대구시에 제안했다.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달서구가 제안한 생태 관광지는 달성습지와 화원유원지, 대명유수지 일대를 포함한 248만5370㎡에 이른다. 

특히 금호강과 낙동강이 만나는 달성습지는 각종 천연기념물·멸종위기 야생생물을 포함한 129종과 253종의 동물과 80과 326분류군의 식물이 서식하고 있는 곳이다. 이 일대가 국가정원으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먼저 대구시 지방정원으로 등록돼 3년간 관리·운영을 거쳐야 한다. 이후 정원 면적, 편의시설 확보 여부, 정원 전담조직 구성 등 요건을 갖춘 뒤 국가정원 지정을 신청하면 산림청장이 최종 결정을 내린다.

달서구는 이 지역이 국가정원으로 지정되면 연간 수백만 명 수준의 국내·외 관광객 유입과 함께 1조원 내외의 생산유발 효과를 낼 것으로 전망했다. 이태훈 구청장은 “이전부터 구상해왔던 사업으로 제안 시기에 대한 오해는 없으면 한다”며 “대구시민의 뜻을 모두 모으면 가능한 사업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대구 달서구가 제안한 국가정원인 대명유수지에서 바라본 한국지역난방공사 대구지사 모습 ⓒ시사저널 김성영
대구 달서구가 제안한 국가정원인 대명유수지에서 바라본 한국지역난방공사 대구지사 모습 ⓒ시사저널 김성영

달서구가 제안한 국가정원 일대 대명유수지와 달성습지 인근에는 구 일부 지역난방을 담당하는 한국지역난방공사 대구지사가 있다. 이 시설은 미세먼지나 환경문제를 일으키는 물질 배출 우려 등 환경 리스크를 안고 있는 시설이기도 하다. 이에 지방정원이나 국가정원에 앞서 환경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완충 녹지나 환경오염 물질 배출 저감 설비, 배출 모니터링 계획 등 구체적 계획도 뒤따라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2023년 기준 국가정원으로 지정된 곳은 전남 순천만과 울산 태화강 두 곳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