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측이 노조 활동 이유로 조합원들 징계·차별”
“대주주인 광주시가 직접 문제 해결에 나서야”

‘광주형 일자리’로 불리는 광주글로벌모터스(GGM)의 금속노동조합 소속노조 조합원들이 사측의 노조 탄압을 주장하며 광주시청 앞에 천막치고 농성에 들어갔다. 특히 이들은 최대주주인 광주시가 직접 문제 해결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광주형 일자리’로 불리는 광주글로벌모터스(GGM)의 금속노동조합 소속노조 조합원들이 사측의 노조 탄압을 주장하며 천막농성에 들어갔다. 특히 이들은 최대주주인 광주시가 직접 문제 해결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24일 기자회견하는 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 광주글로벌모터스(GGM) 지회 ⓒ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연합뉴스
‘광주형 일자리’로 불리는 광주글로벌모터스(GGM)의 금속노동조합 소속노조 조합원들이 사측의 노조 탄압을 주장하며 천막농성에 들어갔다. 특히 이들은 최대주주인 광주시가 직접 문제 해결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24일 기자회견하는 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 광주글로벌모터스(GGM) 지회 ⓒ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연합뉴스

노조는 24일 오후 광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GGM(지지엠)은 국내 첫 노사 상생 모델인 ‘광주형 일자리’를 표방해 출범했다”며 “하지만 사측은 노조 활동을 한다는 이유로 조합원들을 징계·차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전남 지방노동위원회(지노위)의 결정을 근거로 사측이 노조 탄압과 부당노동행위를 일삼고 있다고 질타하기도 했다.

노조는 “노조 간부의 보직을 해임하는 것은 부당 인사라는 중앙노동위원회의 판정이 나왔지만, 사측은 반성하거나 관련자에게 책임을 묻지 않고 있다”며 “광주시는 더 이상 침묵과 방관으로 공범이 되지 말고 최대주주로서의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노조는 이날 기자회견문을 통해 △반복된 노조탄압 및 인권침해 중단 △보복성 인사 및 징계 철회 △대표이사 연임 강행 중단 △노조탄압 책임자 처벌 △GGM 정상화를 위한 광주시의 직접적인 책임 이행 등을 6대 핵심 요구사항으로 내걸었다.

특히 노조는 최근 ‘연임설’이 도는 윤몽현 현 대표이사에 대해 “지난 2년간 노조를 핍박했던 후안무치한 대표이사가 연임하는 것은, 노조탄압을 계속하겠다는 시그널로밖에 볼 수 없다”며 “노사관계를 파탄으로 몰고 간 대표이사의 연임을 광주시가 막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광주 광산구 빛그린산단 광주글로벌모터스(GGM) 공장 정문. 정문 너머에 '상생의 일터'라는 표지석이 서 있다.  ⓒ시사저널 김현지
광주 광산구 빛그린산단 광주글로벌모터스(GGM) 공장 정문. 정문 너머에 '상생의 일터'라는 표지석이 서 있다.  ⓒ시사저널 김현지

한편 현대차 ‘캐스퍼’를 위탁 생산하는 GGM은 노동자 평균 초임을 동종업계 절반 수준으로 책정하는 대신 자치단체가 주거·보육·의료 등 사회적 임금을 지급하는 ‘상생형 일자리’(광주형 일자리)로 불린다. 

GGM 노조는 올해 초 임금·단체협약(임단협) 협상이 결렬된 이후 부분 파업을 하는 등 사측과 갈등을 이어오고 있다. 노조는 15만9200원(약 7%)의 월급 인상 등을 요구했지만 사측은 노사 상생협의회가 결정한 올해 초 물가상승률 3.6%를 적용하는 것 외 추가 인상은 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교섭이 결렬됐다. 

이후 노사간 충돌이 빚어지며 회사는 노조 조합원을 고발하고 반발한 노조가 강경투쟁에 나서는 등 ‘상생형 일자리’가 무색하다는 말이 나온다.

GGM에서는 지난해 7월 금속노조 산하 광주글로벌모터스지회가 출범했다. 그러나 회사와 노조 측은 ‘누적생산 35만대까지는 상생노사발전협의회 결정을 따라야 한다’는 ‘노사상생발전 협정서’ 조항 해석을 두고 맞서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