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당 지방선거총괄기획단, 기초자치단체장 연석회의
“당 뿌리 튼튼하게 하는 일이 이번 선거 최대 과제”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앞줄 오른쪽)와 나경원 의원(앞줄 왼쪽)이 11월24일 국회에서 열린 대장동 범죄수익환수 특별법 제정을 위한 긴급 토론회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앞줄 오른쪽)와 나경원 의원(앞줄 왼쪽)이 11월24일 국회에서 열린 대장동 범죄수익환수 특별법 제정을 위한 긴급 토론회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은 25일 지방선거 경선 시 당심 반영 비율을 50%에서 70%로 상향하기로 한 방안을 그대로 추진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당 지방선거총괄기획단 대변인을 맡고 있는 조지연 의원은 이날 현역 시장·군수·구청장과 연석회의를 마친 뒤 ‘당심 반영 비율을 70%로 상향하는 안을 건의하기로 한 입장에 변함이 없느냐’는 질문을 받고 “7대3(당원 투표 70% 대 국민 여론조사 50%) 비율에 대한 입장은 명확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지방선거가 국민정서와 민심을 최대한 반영해야 된다는 것과 동시에 취약한 당세를 확장하는 과제도 안고 있다”며 “당의 뿌리를 튼튼하게 하는 일도 이번 선거의 최대 과제”라고 설명했다.

이어 ‘기획단 위원장인 나경원 의원이 서울시장 출마 후보로 거론되는 상황에서 당심 반영 비율을 높이는 건 부적절하다’는 지적에는 “어떠한 개인을 두고 룰을 정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반박했다.

‘7대3 경선룰이 기획단 특정 인사에 유리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는 “일반 국민(여론)을 많이 반영하는 것도 맹점이 있다. 인지도 높은 후보가 일반 여론이 높았을 경우 높게 나오는 게 그간 선거 결과들”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당 기여도에 대한 강화, 당원 비율 강화가 궁극적으로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하는 노력들도 병행해야 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날 회의에선 일부 기초자치단체장들이 더불어민주당의 권리당원 권한 강화를 반면교사 사례로 언급, ‘민심 반영 비율을 더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도 제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기획단은 이날 회의에서 각 당협별로 청년 1명 이상 공천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당 지도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