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년 2.3% 전망도 등장…노무라 “잠재성장률 상회”

지난 14일 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모습 ⓒ연합뉴스
지난 14일 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모습 ⓒ연합뉴스

3분기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세계 주요국 중 최상위권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2.3%로 전망하는 기관도 등장했다.

26일 한국은행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한국의 3분기 GDP 성장률은 1.166%로 전날까지 속보치를 발표한 26개국 중 3위를 기록했다. 올해 한국 경제는 '상저하고'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1분기에는 비상계엄 사태의 여파로 GDP 성장률이 -0.219%까지 하락했고 국제 순위도 전체 37개국 중 34위에 그쳤다. 2분기에는 수출 호조 덕분에 0.675% 성장, 37개국 중 10위로 순위가 올랐고 이런 성장세가 3분기까지 이어졌다.

성장률 1위는 2분기 -1.1% 역성장에 이은 기저효과에 3분기 2.967%로 뛰어오른 이스라엘이 차지했다. 고성장 흐름을 이어가고 있는 인도네시아(1.216%)가 2위였다. 중국은 1.1% 성장에 그쳐, 분기 기준으로 2022년 2분기 이후 3년여 만에 처음으로 우리나라의 성장률을 밑돌았다. 영국(0.082%), 독일(0%), 프랑스(0.504%) 등 유럽 주요국도 저성장을 면치 못했고 일본은 -0.442%로 26개국 중 꼴찌를 차지했다.

최근 노무라증권은 내년 한국의 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9%에서 2.3%로 대폭 상향 조정했다. 반도체 슈퍼사이클 영향으로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가 발생하고, 국내 자산 가격이 상승하며 민간 소비가 활성화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점을 분석의 근거로 들었다. 이는 정부,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통화기금(IMF)이 각각 제시한 1.8%는 물론 한국금융연구원(2.1%)이나 OECD(2.2%)보다도 높다. 한은이 지난 8월 제시한 1.6%보다는 0.7%포인트(p)나 높다.

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보고서에서 "주가와 집값이 동시에 오르면서 부의 효과가 일어나 소비를 회복시킬 것"이라며 "내년 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을 웃돌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사이클은 종료된 것으로 본다"며 "한은이 정부의 확장 재정을 지원하며 내년 말까지 연 2.50%로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런 전망이 현실화하면 이창용 한은 총재가 최근 언급한 한국의 잠재성장률(1.8%)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 된다. 오는 27일 한은은 경제전망을 통해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