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도, 계좌 흐름, 증인도 없는 청문회…해명 외형만 갖춰”
“李대통령 임명 강행할 듯…檢 수사하면 조국처럼 낙마할 수도”
진중권 광운대 특임교수는 24일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와 관련한 각종 의혹에 대해 “수사로 넘어가면 ‘조국 사태’와 비슷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 후보자의 해명에도 ‘수상한 돈의 흐름’이 명쾌히 소명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진 교수는 이날 시사저널TV에서 방송된 《시사끝짱》에 출연해 “김 후보자와 관련한 검찰 수사가 진행되면 계좌가 열리고 실체가 드러날 수밖에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후보자의 이날 국회 인사청문회에서는 ▲불법 정치자금 사건 관련자와의 금전거래 의혹 ▲출판기념회 등 세비 외 수입 논란 ▲자녀 유학자금 출처 의혹 등 재산 관련 의혹 ▲김 후보자 아들의 고교 시절 입법 추진 활동 등이 도마 위에 올랐다.
김 후보자는 재산 관련 의혹에 “다 소명할 수 있다”며 사실무근이라고 강하게 반박했다. 그러나 진 교수는 “김 후보자의 해명은 사실상 해명의 외양만 갖춘 것”이라고 비판했다.
진 교수는 “증인을 부르지 못한 전례 없는 청문회였다. 제출한 자료도 (야당이 요구한 것의) 4분의 1만 왔다더라”며 “숫자와 계좌 흐름이 있어야 해명인데, 지금은 숫자가 하나도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후보자가) 출판기념회, 결혼식 축의금 이야기를 하며 얼버무리는데, 구체적인 계좌이체 내역 같은 건 하나도 제시하지 않고 있다”고 했다.
진 교수는 “숫자 맞추는 건 간단한 일”이라며 “출판기념회에서 1억5000만원을 현금으로 받았다면 그 돈은 어디 갔는지, 은행에 넣었는지, 계좌로 갔는지, 그 흐름만 보면 된다”며 “초과 수령한 돈이 있다면 거기엔 계좌이체 기록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진 교수는 김 후보자의 재산 형성과정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정치 낭인 생활을 했던 사람이 돈을 벌어본 적도 없는데 자식은 국제고 보내고 미국 유학까지 시켰다”며 “생활은 호화로운데 소득은 없다는 점에서 의혹이 생긴다”고 했다.
또한 “(김 후보자가 대표로 있던 공익법인의 한 임원이) 빌라 전세 2억짜리를 얻어 인테리어만 해놓고 두 달 만에 빠진 뒤 (김 후보자의) 부인이 들어가 살고, 이후 장인·장모에게 넘어간 것도 이상하다”며 “결국 신혼집을 누군가 대신 마련해준 셈인데, 그 돈이 어디서 났는지 보면 된다. 결국 계좌를 까야 하고, 검찰만이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진 교수는 “정치자금법 위반의 소지도 있다”며 “민주당이 벌써부터 수사하지 말라고 압박하고 있지만, 검찰이 제대로 수사하면 조국 사태와 다를 바 없는 결론이 나올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청문회장에서 민주당 의원들이 질문을 던지고, 후보자가 답하는 방식으로 마치 해명한 것처럼 외형만 갖췄다”며 “그렇게 이틀만 버티면 임명이 될 거라고 보는 듯하다. 하지만 이미 고발이 이뤄졌고, 사건 배당도 끝난 상태다. 수사가 진행되면 계좌가 열리고 실체가 드러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조국 전 장관도 임명 후 두 달도 안 돼 낙마했다. 수사에서 청문회 당시 거짓말이 드러나 언론 보도로 이어졌고 결국 버티지 못한 것”이라며 “지금도 똑같다. 숫자가 안 맞는 상황에서 검찰이 의지를 가지고 수사하면 ‘조국 시즌2’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대통령이) 청문회를 지켜보겠다고 말했지만 이미 임명 의사를 굳힌 듯하다”며 “정권 초기에 총리가 낙마하면 타격이 크기 때문에 청문회에서 무엇이 나오든 밀어붙이겠다는 의지가 읽힌다”고 덧붙였다.
진 교수 발언 전문은 유튜브 채널 ‘시사저널TV’에서 확인할 수 있다.